카메라 및 사진 영상에 관하여

적정노출에 대하여 (Proper exposure)

클로이클로이 2023. 6. 5. 15:00

적정 노출 :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주제가 이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노출값.

 

히스토그램 : 밝은 정도의 단계를 구분하여 해당 밝기에 픽셀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그래프

히스토그램 상에서 종 모양 형태를 이룬 벨 커브(Bell Curve)가 나타났을 때가 가장 이상적

But, 벨 커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해서 노출이 틀린 건 아니다. 촬영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

 

적정 노출이라는 것 또한, 촬영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다른 노출값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. 고로 창작자의 의도가 잘 포함되어 있다면 적정 노출이라고 볼 수 있다. 

 

 

위의 사진 처럼 노출값은 이러하게 확인을 할 수 있다. 이 모양이 벨 형태를 이룰 때 이상적이라고 하는 것이다. 

내 눈으로는 정확한 노출값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. 

그러기 위해서는 노출계로 노출값을 측정해야한다. 

 

노출계 : 찍고자하는 대상의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.

 

카메라로 반셔터를 누르고 초점을 잡을 때 동시에 노출계가 동작하면서 렌즈에 들어오는 대상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적정 노출인지 아닌지를 판단.

-> 그러나 모든 사물의 반사율이 일정하지 않다.

 

 

 

 

일반적인 대상의 반사율은 색깔에 따라 첫번째 사진처럼 구분할 수 있다.

하지만 노출계는 색을 인식하지 못하고 흑백으로 사물을 인식하게 되고 그레이카드를 기준으로 적정노출을 판단하게 됨.

 

 

 

그레이 카드의 반사율이 18%이기 때문에, 노출계는 일반적으로 18%의 반사율이 적정노출 값으로 인식하도록 만들어짐.

=> 노출계에 표시된 적정노출 값을 100% 신뢰할 수 없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그렇다면 이런 노출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이나 명칭이 있을까?

다음 포스팅인, "존 시스템" 에서 확인해보자